UXUI 디자인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콘텐츠 레이아웃 유형과 이유

ing차실장 2025. 6. 29. 12:45

‘보는 것’보다 ‘읽을 수 있는 구조’가 중요하다

웹사이트나 앱에서 콘텐츠가 아무리 좋은 정보를 담고 있어도, 중장년층이 읽기 어려운 구조로 배치되면 정보 전달은 실패한다.
젊은 세대는 스크롤, 스와이프, 비주얼 중심 UI에 익숙하지만, 중장년층은 한 화면에서 정보를 “직관적으로, 천천히, 순서대로” 파악하려는 성향이 강하다.

이는 단순히 글씨를 크게 한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중장년층을 위한 콘텐츠는 **‘정보의 배치 구조’, ‘시선 이동 동선’, ‘스크롤 사용성’**까지 종합적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실제 중장년 사용자 테스트 결과와 UX 리서치 사례를 바탕으로,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콘텐츠 레이아웃 유형 3가지를 소개하고,
그 이유와 적용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중장년층 콘텐츠 레이아웃 유형과 이유

중장년층이 선호하는 콘텐츠 레이아웃 유형 3가지

 1. 단일 열(Column) 세로형 레이아웃

  • 한 화면에 하나의 정보 블록만 나오는 세로 스크롤 중심 구조
  • 각 블록에는 제목 → 이미지(또는 아이콘) → 설명 텍스트 구성
  • ‘카드형’보다는 연속된 기사 스타일에 더 친숙

이유:
중장년층은 수평 흐름보다는 수직 흐름에 익숙하며,
스크롤로 다음 내용을 확인하는 방식이 더 예측 가능하고 안정적인 사용 흐름을 제공한다.

2. 중앙 집중형 콘텐츠 배치 (Center-Aligned Layout)

  • 전체 콘텐츠를 가운데 정렬
  • 여백을 충분히 두고, 좌우 사이드바를 최소화하거나 제거
  • 중요한 내용은 화면 상단과 중앙에 배치

이유:
시력이 저하된 사용자에게는 좌우로 시선을 옮기는 것이 불편하며,
중앙 정렬은 시선 이동 없이 정보에 집중할 수 있는 구조다.
특히 화면이 복잡하지 않아 심리적 부담을 줄인다.

 3. 섹션별 제목 강조 + 단계형 콘텐츠 나열

  • 콘텐츠를 작은 섹션(블록)으로 나누고, 각 블록마다 명확한 제목 배치
  • 예:
    ▶️ 건강 정보
    ▶️ 신청 방법
    ▶️ 자주 묻는 질문
    ▶️ 상담 방법
  • 각 섹션마다 요약 텍스트 또는 한 줄 설명 포함

이유:
중장년층은 내용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지 않고,
관심 있는 섹션을 바로 찾아서 접근하려는 특성이 강하다.
섹션 나누기와 제목 강조는 정보 탐색 시간을 크게 줄여준다.

 

콘텐츠 레이아웃 설계 시 고려해야 할 UX 요소 5가지

① 시선 흐름은 위→아래, 왼쪽→오른쪽의 기본 원칙을 따른다

  • 중요한 정보는 항상 상단에 배치
  • 행동 유도 버튼은 오른쪽 아래 고정
    → 시니어 사용자는 화면 내 시선 이동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② 이미지나 아이콘은 설명 목적일 때만 사용한다

  • 단순 장식 이미지는 오히려 혼란을 유발
  • 텍스트와 연계된 직관적인 시각 자료만 활용해야 한다

③ 한 화면에 너무 많은 정보를 넣지 않는다

  • 1블록 = 1정보 원칙
  • 글자 크기보다 정보 밀도 자체를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다

④ 배경색과 콘텐츠 구분을 명확히 한다

  • 섹션마다 배경색 또는 경계선 처리
  • 단순하지만 시각적으로 구분 가능한 구조가 중장년층에 효과적

⑤ 콘텐츠 종료 시 ‘다음 행동’을 안내한다

  • “이제 신청하시겠어요?”, “다음으로 무엇을 하시겠어요?”
    → 중장년층은 정보를 본 후 스스로 다음 단계를 결정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 버튼, 링크, 전화 연결 등을 통해 명확한 행동 유도가 필요하다

 

콘텐츠는 ‘글’이 아니라 ‘경험’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중장년층은 콘텐츠를 ‘정보’로 보기보다,
내가 이걸 이해할 수 있는가, 이걸 보고 뭘 해야 할까라는 ‘경험의 흐름’으로 받아들인다.

그래서 콘텐츠 자체보다 어떻게 배치하고, 어떤 순서로 보여주며, 시선과 클릭을 어디로 유도할 것인가가 핵심 UX 설계 요소다.
젊은 세대 중심의 트렌디한 디자인은 중장년층에겐 오히려 ‘장벽’이 될 수 있다.
앞으로의 콘텐츠는 누구나 읽을 수 있도록 쓰는 것을 넘어,
누구나 끝까지 따라올 수 있도록 배치하는 설계가 필요하다.
그것이 콘텐츠 UX의 본질이고, 고령 사용자 경험을 위한 진짜 포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