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서비스에서 글자체는 단순히 보기 좋은 디자인 요소로만 여겨지기 쉽다. 하지만 특히 고령층을 위한 UX 디자인에서는 ‘어떤 폰트를 사용하느냐’가 사용자 경험의 품질을 크게 좌우한다. 고령층은 시력 저하, 인지력 변화 등으로 인해 작은 차이에도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가독성이 높은 폰트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산세리프체, 즉 ‘고딕체’는 자간이 일정하고 획이 단순해 시각적으로 혼란을 줄여주는 특징이 있다. 이 글에서는 고령 사용자를 위한 UX 설계에서 왜 고딕체를 우선적으로 선택해야 하는지, 세리프체와의 비교, 실제 적용 사례, 실무 적용 시 유의할 점까지 총체적으로 설명한다.
1. 고령 사용자의 시각적 변화 이해하기
사람은 나이가 들수록 글자의 디테일한 구조를 인식하는 능력이 저하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시신경 반응 속도 감소
- 근거리 초점 조절력 저하(노안)
- 망막의 명암 감지 능력 저하
이런 변화는 곧 복잡한 폰트를 읽기 어렵게 만든다.
특히 획이 가늘거나, 끝이 장식처럼 갈라져 있는 ‘세리프체(명조체 계열)’는
고령자에게 시각적 피로를 유발할 수 있다.
2. 산세리프체와 세리프체의 차이점
특징 | 획이 일정하고 끝이 깔끔함 | 획의 끝에 장식(세리프)이 있음 |
예시 | Noto Sans, 맑은 고딕, 나눔스퀘어 | Times New Roman, 바탕체, Georgia |
가독성 | 화면에서 높음 | 인쇄물에서는 좋지만 화면에서는 낮음 |
고령층 적합도 | ✅ 매우 적합 | ❌ 부적합할 수 있음 |
3. 고딕체가 가독성에 유리한 이유
1) 획의 굵기가 일정해서 인식이 빠르다
고딕체는 획이 일정하고 직선 위주로 구성되어 있어서 문자 구조를 빠르게 인식할 수 있다.
고령층은 작은 차이를 구분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는데, 고딕체는 그런 시각적 혼란이 적다.
2) 글자의 형태가 선명하게 보인다
명조체나 필기체는 화면 상에서 번져 보이거나 ‘모호하게’ 보이는 경우가 있다.
반면 고딕체는 모니터 해상도나 밝기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명확하게 보인다.
3) 자간이 일정하고 들쭉날쭉하지 않다
글자 간 간격이 고르게 유지되는 고딕체는 문장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쉽다.
이는 정보 전달의 효율성을 높여준다.
4. 실제 사용 사례
✔ 정부기관 웹사이트
-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서울시 복지포털 등은 기본 글꼴로 고딕 계열(Noto Sans, 나눔고딕)을 사용
- 문서나 서비스 정보 전달 시 정확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한 선택으로 평가됨
✔ 병원 앱, 약국 키오스크
- 사용자층이 주로 중장년 이상이기 때문에 모든 텍스트를 맑은 고딕 or 나눔스퀘어로 통일
- 오진 방지, 투약 정보 명확화를 위한 필수 조건으로 적용됨
✔ 금융기관 키오스크
- 은행 ATM, 스마트 창구 등의 UI 텍스트 대부분 고딕체 사용
- 계좌번호, 금액 등 숫자 오인 방지를 위한 조치
5. 고딕체 선택 시 실무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
① 유료 vs 무료 폰트
- 무료 라이선스 고딕체: Noto Sans KR, 나눔스퀘어, Spoqa Han Sans
- 라이선스 확인은 꼭 필요하며, 웹폰트로 로딩 속도에 영향이 적은 버전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② 굵기 조절(Bold 사용)
- 본문: Regular 또는 Medium
- 제목: Bold
- 버튼: SemiBold
고령층을 위한 디자인에서는 굵기 차이가 명확해야 시각적 인식이 빠르다.
③ 모바일 환경 고려
- 모바일에서는 글자가 더 작게 보이기 때문에 고딕체 중에서도
선이 두껍고 해상도에 강한 폰트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예: Samsung One UI Font, Apple San Francisco
6. 고딕체 사용 시 피해야 할 사례
- 영문 고딕체만 사용: 한글 폰트와 어울리지 않아서 부자연스럽게 느껴진다
- 폰트 가짓수 혼용: 하나의 화면에 여러 고딕체를 섞으면 오히려 혼란스러울 수 있다
- 너무 가는 고딕체: 고딕체라도 Thin, Light 계열은 고령층에게는 ‘안보이는 글씨’가 될 수 있음
7. 추천 고딕체 리스트 (웹/앱 전용)
Noto Sans KR | 구글 제공, 깔끔하고 안정적 | 무료 |
나눔스퀘어 | 네이버 제공, 국내용 최적화 | 무료 |
Spoqa Han Sans | 쇼핑몰 UI용으로 가독성 우수 | 무료 |
Tmoney RoundWind | 둥근 모서리로 친근함 | 무료 |
Pretendard | 다양한 굵기 지원, 화면 최적화 | 무료 |
고령층 UX에서 폰트 선택은 디자인 감성보다 정보 전달과 인식의 명확성이 우선되어야 한다.
고딕체는 이런 기준에 가장 부합하는 폰트이며, 웹/앱/키오스크를 막론하고
사용자의 피로도는 줄이고, 만족도와 이해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지금 당장 UI 디자인을 새로 시작하거나 리디자인하는 단계라면,
고딕체 중심으로 구성된 산세리프 기반 텍스트 시스템을 먼저 고민해보는 것이
UX 품질을 올리는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다.
요약 정리 (SEO 타깃 키워드 포함)
- 고령층 UX에서는 **산세리프체(고딕체)**를 기본으로 사용해야 가독성 확보
- 획이 일정하고 자간이 균일해 시각 피로 감소 + 정보 전달력 향상
- 세리프체(명조체)는 장식 요소가 많아 고령 사용자에게 혼란을 줄 수 있음
- 무료 고딕체(Noto Sans, 나눔스퀘어 등)를 실무에서 적극 활용
'UXUI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층 UX 디자인 가이드 ④텍스트 중심 정보 설계가 고령층 UX에 유리한 이유 (0) | 2025.07.05 |
---|---|
고령층 UX 디자인 가이드 ② – 명확한 대비 색상 사용이 중요한 이유 (0) | 2025.07.04 |
고령층 UX 디자인 가이드 ① – 글자 크기 기본 16px 이상으로 설정해야 하는 이유 (0) | 2025.07.04 |
중장년층 UX 설계의 미래: 기술보다 중요한 5가지 가치 (0) | 2025.07.03 |
중장년층 UX 콘텐츠를 활용한 커뮤니티 활성화 전략 (0) | 2025.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