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30 3

중장년층 대상 디지털 서비스의 전체 UX 최적화 체크리스트

포용적 UX는 디테일이 아니라 ‘전체 흐름’에서 완성된다중장년층 대상 UX를 이야기할 때, 대부분은 텍스트 크기나 버튼 위치 같은 개별 UI 요소에 집중한다.하지만 실제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도와 편의성은 서비스 전체의 ‘경험 흐름’에서 결정된다.즉, 글자 크기는 커도 흐름이 어렵거나, 버튼은 크지만 행동 유도가 없으면 중장년층은 이탈하게 된다.그래서 필요한 것이 전체 경험을 관통하는 통합 UX 체크리스트다.이 글에서는 실제 중장년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계된 서비스에서전체 사용자 흐름(탐색 → 행동 → 피드백 → 반복) 기준으로UX 최적화 항목을 25개 체크리스트 형태로 정리한다.사용자 흐름에 따른 UX 체크리스트 (총 5단계 × 5문항 = 25개)✅ ① 탐색 단계 (서비스에 들어왔을 때)핵심 기능이 첫 화..

UXUI 디자인 2025.06.30

중장년층 UX 설계를 위한 실사용자 테스트 설계 및 분석 방법

만든 UX가 잘 작동하는지를 확인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중장년층을 위한 UX 설계는 단지 좋은 구조와 글자 크기를 설정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는다.그 설계가 실제 사용자의 손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편안하게 느껴지는지, 실수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지를 확인해야 진짜 UX 설계가 완성된다.하지만 많은 UX 테스트는 20~30대 중심으로 진행되며,중장년층은 테스트 대상자 선정에서조차 배제되는 경우가 많다.이 글에서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한 UX 사용성 테스트를 어떻게 설계하고 실행하며 분석할 수 있는지실전 중심으로 정리해, UX 설계와 사용자 피드백 간의 간극을 줄이는 전략을 제시한다. 중장년층 UX 테스트에서 반드시 고려할 점① 사용자의 디지털 숙련도 편차가 크다같은 60대라도 카카오톡만 겨우 사용하는 사용..

UXUI 디자인 2025.06.30

중장년층을 위한 ‘디지털 격차 해소형’ UX콘텐츠 기획 전략

정보가 있어도, 전달되지 않으면 ‘격차’는 해소되지 않는다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는 단순히 기기 사용의 문제만이 아니다.중장년층은 스마트폰을 보유하고 있지만,정보를 탐색하고, 이해하고, 행동으로 연결하는 디지털 능력이 부족해 콘텐츠를 온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이때 필요한 것은 기술 교육이 아니라,중장년층의 이해력과 사용 방식에 맞춘 콘텐츠 자체의 ‘기획 방식’ 전환이다.즉, 격차를 해소하려면 정보 제공이 아니라 이해 가능한 콘텐츠를 만들고,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한다.이 글에서는 실제 중장년 사용자 대상 기획 사례를 바탕으로,디지털 격차를 해소하는 콘텐츠 기획 전략 5가지를 소개한다. 기존 콘텐츠가 중장년층에게 어려운 이유 4가지① 너무 많은 정보를 한 번에 전달한다중장..

UXUI 디자인 2025.06.30
반응형